<환율 상식사전> 정리 (ing)
★영국 금본위제★
1819년.
★미국 금본위제 도입★
1879년.
★브레튼우즈 체제★
1944년. 미 달러화 중심의 금본위제 부활. 즉 미국 달러는 금 1온스당 35달러로 고정됐고, 다른 주요 통화들은 달러화와 고정환율로 묶였다.
★스미소니언 체제★
1971년. 미국 닉슨 대통령이 달러를 금으로 바꿔주던 금태환 제도를 폐지한다고 일방적으로 선언. 닉슨 쇼크(Nixon shock). 이에 따른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1971년 12월 워싱턴 스미소니언 박물관에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주요 10개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모여 국제통화에 관한 새로운 협정을 맺었다. 이를 스미소언 체제라고 한다.
협정의 주요 내용은 미국의 달러화를 7.89% 평가 절하(금 1온스당 38달러로 변동)하고, 환율 변동폭도 1%에서 2.25%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 동시에 일본 엔의 7.66% 평가절상을 비롯하여, 독일 마르크화, 네덜란드 길더화, 벨기에 프랑화도 절상에 합의한다.
스미소니언 체제는 1973년 모든 주요 통화과 변동환율제로 이행함에 따라 무너지고 만다.
★킹스턴 체제★
1976년. 브레튼우즈 통화체제의 종언. 변동환율제를 기본으로 하는 국제통화체제의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됨. 변동환율제는 국가가 환율 결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장 기능, 즉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킨스턴 체제는 금달러본위제 폐지와 동시에 특별인출권(SDR) 본위제로의 이행과 고정환율제와 변동환율제의 인정, 그리고 IMF 신용의 확대 및 이용 조건 완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별인출권※
Special Drawing Rights. 세계 경제의 재정적 균형을 맞추고자 달러 외의 국제결재수단의 필요성이 대두함에 따라 1969년 IMF 워싱턴 회의에서 도입 결정한 가상의 국제준비통화.
ㅡ ㅡ
※통화전쟁※
환율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고조되자 2010년 브라질 재무장관 구이도 만테가 처음 사용.
※양적완화※
자국 통화의 평가절하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에 돈을 풀어 인위적으로 통화 가치를 낮추는 전략.
※뮤추얼펀드※
투자자들이 자금을 모아 투자회사를 설립한 후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 등에 투자한 후 이익을 나눠주는 투자신탁.
※헤지펀드※
비공개로 소수 부자들끼 자금을 모은 사적인 펀드, 즉 사모펀드. 사모펀드는 공격적으로 자금을 운용해 리스크가 큰 편이지만 그만큼 큰 이익을 낼 수 있다.
※펀더멘탈※
한 나라의 경제 쌍태를 표현하는 데 있어 가장 기초적인 자료가 되는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실업률, 경상수지 등 주요 거시경제 지표.
0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