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freepick



- 유럽 집행위원회 (European Commission) 

유럽연합의 회원국 정부의 상호동의에 의해 5년 임기로 임명되는 위원들로 구성된 독립 기구. 유럽연합의 보편적 이익을 대변하는 초국가적 기구다. 공동체의 법령을 발의한다. 

현재 위원장은 독일 정치인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프로필)이다. 


source | 우르줄라 폰데이어라이엔 트위터




- 유럽 의회 (European Parliament) 

유럽연합의 입법 기관이자 하원이다. 유럽 집행위원회를 감독하며 집행 위원 임명 동의를 한다. 불신임 투표를 통해 해임할 수도 있다. 또한 유럽연합의 예산 감독권을 가진다. (하원) 




- 유럽연합 이사회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유럽연합의 입법 기관이자 상원이다. 




- 녹색기후금융 (GCF)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위치한 국제 기구다.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로 한 UN 기후 변화 협약에 의해 만들어졌다. 아시아 지역에 본부가 설립된 두 번째 국제지구다. 2010년 COP16 이후 설립됐다.  




- CDP (Carbon Disclosure Project)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2000년 설립된  비영리 기구. 세계 각국 기관투자자들이 후원했다. 글로벌 기업의 기후변화대응 전략과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등을 매년 평가해 투자자와 금융기관에 전달한다. 

기업에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요구해, 이를 수집, 분석해 2003년부터 매년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CDP Korea 250 Climate Change Report 2012에 따르면, 2012년 2월 1일 기준 전 세계에서 약 78조 달러를 운용하는 665개의 금융기관이 투자자로 서명했으며, 우리나라는 2012년 7월 1일 기준으로 약 1,860조 원의 자산을 운영하는 30개 금융기관이 참여하고 있다고 한다. 

CDP는 매년 2월 1일 직전 년도를 기준으로 온라인 응답 시스템을 통해 대상 기업에게 탄소배출량 등에 대한 투자자정보공개요청서를 보내고, 동년 5월 말까지 회신해줄 것을 요청한다. 기업들로부터 받은 정보를 취합해 9~12월 중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2012년 투자자정보 공개요청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업 경영 : 기후변화 관련 의사결정 책이맞가 누구인지, 기후변화 관련 업무에서 성과가 있는 경우 인센티브가 제공되는지, 사업전략에 기후변화 관련 사항이 포함돼 있는지, 감축목표 및 계획은 무엇인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한 성과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있는지 등 

(2) 위기와 기회 : 사업 운영, 영업수익, 비용지출 등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를 발견했는지 여부 

(3) 온실가스 배출 : 배출량 산정방법, 배출 데이터, 배출량에 대한 상세 내역, 총운영비 대비 에너비 비용, 배출성과, 배출권거래 등 



- 공적수출신용기관 (ECA) 

우리나라 ECA로는 한국수출입은행과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있다. 

국내 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 국제 수출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를 대신해 운영되는 공공기관 또는 민간 기업을 뜻한다. 정부로부터 위임을 받아 정책적 차원의 대외거래관련 대출, 보증 또는 보험을 제공한다. 

대출은 ECA가 상품이나 서비스 수출을 위해 수출자 또는 해외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것이고, 보증은 상품 또는 서비스 수출 또는 구매에 필요한 자금을 금융기관으로부터 조달할 경우 대출기관 앞으로 수출자 또는 구매자의 채무 불이행 시 이들을 대신해서 채무상환을 보증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보증은 거래의 위험을 낮추고 금융기관이 신용 또는 관할권 문제로 인해 불가능할 수 있는 자금 조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한편, 수출자가 해외 구매자로부터의 수출대금 미회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ECA 앞으로 보험(혹은 재보험)을 부보하는 경우이다. 구매자의 대금 미지급 시 ECA로부터 수출대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험금으로 지급받는다. 





-- 한국수출입은행 (KEXIM)

대한민국 국책은행(정부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별법에 의해 설립한 은행, KDB, IBK기업은행, KEXIM). 기획재정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also commonly known as the Korea Eximbank (KEXIM), is the official export credit agency of South KoreaIts primary purpose is to support South Korea's export-led economy by providing loans, financing mega projects and thereby facilitat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 한국무역보험공사 (K-SURE)

무역이나 그 밖의 대외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위험을 담보하기 위한 무역보험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무역과 해외투자를 촉진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됐다. 


The Korea Trade Insurance Corporation (K-Sure) is the official export credit agency of South Korea under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Overseas Investment Insurance offers coverage to banks that provide loans to Korean overseas developers that require large-scale and long-term financing.







- 한국산업은행 (KDB)


대한민국의 산업 개발과 국민 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한국산업은행법에 의해 1954년 설립된 특수은행이다. 


KDB is a wholly state-owned policy development bank in South Korea. 





- IR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기업 설명 및 홍보 활동을 하며 투자 유치를 원활하게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주주총회, 투자유치, 보도자료 배포, 기자간담회 등 활동.







- 한국가스공사 (Kogas) 


제2차 석유파동 발생 후 석유에 크게 의존하던 에너지 수급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료 수입의 다변화정책과 천연가스의 공급을 국민생활의 편익 증진 및 복리 향상을 위해 1983년 설립된 시장형 공기업이다. 


related news 

-- KOGAS ISSUE - 한국가스공사 수소 사업 추진 로드맵

-- 에너지데일리 - 2021.09.17 - 한국가스공사 'K-ESG' 수소 사업 본격화  : 가스공사가 수소사업을 적극 추진 중





- 국제 에너지 기구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제1차 석유파동 직후인 1974년에 OECD 회원국들이 세계 석유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고 석유공급 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설립한 국제기구다. 즉, 산유국들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만든 국제 기구다. 


매년 World Energy Outlook이라는 보고서를 낸다. 

World Energy Outlook 2021


related news 

- 인더스트리뉴스 - 2021.05.15 - IEA, 올해 세계 에너지수요 지난해 대비 4.6% 상승 전망








- 프로젝트 파이낸싱 (PF)


회사가 아니라 프로젝트 단위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담보나 신용도를 보지 않고 사업의 미래 수익성만 어필해 돈을 빌릴 수 있는 금융기법이다. 반대로 회사 차원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기업금융(Corporate Financing)이라고 한다. 





- 특수목적법인 (SPC)


Special Purpose Company. 특수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회사다. 프로젝트 자체의 상환능력을 가지고 자금을 졷라한다. 따라서 모기업의 신용도와 재무상태에 상관없이 사업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특수목적법인이 대출을 받더라도 그것이 모기업의 부채로 잡히지 않는다는 뜻이다. 




- 리파이낸싱 (Refinancing)


재융자. 조달한 자금을 상환하기 위해 다시 자금을 조달하는 일을 뜻한다. 현재 대출금리가 기존의 대출금리보다 낮아지면 대출자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재융자를 받아 기존 대출을 갚는다. 





- TCFD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 G20의 요청에 따라 금융안정위원회(FSB)가 기후변화 관련 정보의 공개를 위해 15년 설립한 글로벌 협의체다. 78개국 2000여개 이상 기관이 TCFD 및 권고안에 지지 선언을 했다. 






- 금융안정위원회 (FSB)


Financial Stability Board. 세계 금융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추천을 하는 국제기구다. 정부 금융 부처 및 국제 표준 지정 단체 간의 협력을 조정하고, 이 협력을 통해 강한 규제, 감독 및 그 외 금융 부문 정책을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이 2009년 3월 가입했다.  






- CTI (Carbon Tracker Initiative) 


An independent financial think tank that carries out in-depth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energy transition on capital markets and the potential investment in high-cost, carbon-intensive fossil fuels. 


좌초자산이라는 개념을 처음 제안한 싱크탱크다. 


CTI의 COP26 관련 페이지 







- 에너지경제연구원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국내외 에너지 및 자원에 관한 각종 동향과 정보를 수집, 조사, 연구, 보급해 한국의 에너지 및 자원에 관한 정책 수립과 국민경제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이 설립 목적이다. 1986년 설립됐다. 






- CREA (에너지 및 청정 공기 연구 센터)


Centre for Research on Energy and Clean Air. An independent research organization focused on revealing the trends, causes, and health impacts, as well as the solutions to air pollution. 


-- 2021.04 - 한국 석탄발전의 건강영향 및 경제적 비용 연구 








- 네거티브 스크리닝 (투자제한전략) 


ESG 관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산업군, 기업군을 투자 가능 종목군 및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제한하는 투자 정책. 





- EU 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관련 자료 : KDI - 2021.07.23 -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핏포55 (Fit for 55) 


EU의 기후변화 로드맵으로, 2021년 7월 14일 나왔다. 55는 10년 후인 203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EU의 '2050 탄소중립'을 향한 중간 목표다. 


related news - ESG경제 - 2021.07.16 - [표] 한눈에 보는 '핏포55' 핵심 내용







- ETS (배출권거래제) 


온실가스의 배출 감축을 위한 시장기반 정책수단이다. 일반적으로 배출총량거래(cap and trade) 원칙에 기초해 운영된다. 정부가 경제 주체들을 대상으로 배출허용총량(cap)을 설정하면, 대상 기업체는 정해진 배출허용범위 내에서만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 즉 배출권(permit)을 부여 받게 된다. 배출권은 정부로부터 할당 받거나 구매할 수 있으며, 대상 기업체들 간 거래(trade) 할 수 있다. 이 전 과정을 배출량총거래(cap and trade)라 한다. 


- FPIC (자유로운 사전 인지 동의) 

Free Prior Informed Consent. 

NGO Fores Peoples Programme에서 개발한 자유로운 사전 인지 동의는 관습적으로 지역사회 주민이 소유, 점유 및 사용하고 있는 토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 지역사회가 동의/비동의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는 원칙이다. (자세한 내용은 이곳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