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준 - 11650 >
좌표 정렬하기
문제 :
2차원 평면 위의 점 N개가 주어진다. 좌표를 x좌표가 증가하는 순으로, x좌표가 같으면 y좌표가 증가하는 순서로 정렬한 다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번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출력 :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점을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 맞았다 엉엉 내 코드 >
코드 길이 : 222 B
sys.stdin.readline( ) 이랑 lambda 사용에 개미걸음 속도로 익숙해지고 있다.
코드 길이를 줄여보고 싶어서 다른 사람 코드를 좀 봤다.
백준에 코드를 공개해놓은 한 유저의 코드를 가져와보자. 아래 코드 길이는 145 B이다.
tuple( ) 을 사용해 코드 길이가 짧아진걸까?
오랜만에 tuple 을 복습해보자.
tuple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항목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자료 구조다. 가지고 있는 항목의 값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새로운 항목 추가도 불가능하다.
튜플은 튜플명 = 항목1, 항목2 ...이렇게 만든다. 이때 항목 사이를 ' , ' 로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
항목들을 ( ) 로 감싸줘도 된다.
튜플 내 1개 항목에 접근하려면 튜플명[항목의 인덱스] 를 사용하면 된다.
튜플에 특정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려면 찾으려는 값 in 튜플명 을 해주면 된다. 이때 찾는 값이 튜플에 들어 있다면 True를, 없다면 False를 돌려준다. 찾으려는 값 not in 튜플명 도 가능하다.
흠. 그런데 코드를 다시보니 tuple 때문에 코드가 짧아진게 아니라 3번 줄에서 list comprehension을 해서 그렇다. 아하 흠
![]() |
스트레스 방지용 강아지 사진 (출처 = 픽사베이) |
좌표 정렬하기
문제 :
2차원 평면 위의 점 N개가 주어진다. 좌표를 x좌표가 증가하는 순으로, x좌표가 같으면 y좌표가 증가하는 순서로 정렬한 다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번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출력 :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점을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 맞았다 엉엉 내 코드 >
코드 길이 : 222 B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list = [] for i in range(N): x, y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list.append([x, y]) list.sort(key = lambda x : [x, y]) for i in list: print(i[0], i[1]) |
sys.stdin.readline( ) 이랑 lambda 사용에 개미걸음 속도로 익숙해지고 있다.
코드 길이를 줄여보고 싶어서 다른 사람 코드를 좀 봤다.
백준에 코드를 공개해놓은 한 유저의 코드를 가져와보자. 아래 코드 길이는 145 B이다.
1 2 3 4 5 6 |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x = [tuple(map(int, sys.stdin.readline().split())) for _ in range(n)] x.sort() for i in x: print(*i) |
tuple( ) 을 사용해 코드 길이가 짧아진걸까?
오랜만에 tuple 을 복습해보자.
tuple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항목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자료 구조다. 가지고 있는 항목의 값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새로운 항목 추가도 불가능하다.
튜플은 튜플명 = 항목1, 항목2 ...이렇게 만든다. 이때 항목 사이를 ' , ' 로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
항목들을 ( ) 로 감싸줘도 된다.
튜플 내 1개 항목에 접근하려면 튜플명[항목의 인덱스] 를 사용하면 된다.
튜플에 특정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려면 찾으려는 값 in 튜플명 을 해주면 된다. 이때 찾는 값이 튜플에 들어 있다면 True를, 없다면 False를 돌려준다. 찾으려는 값 not in 튜플명 도 가능하다.
흠. 그런데 코드를 다시보니 tuple 때문에 코드가 짧아진게 아니라 3번 줄에서 list comprehension을 해서 그렇다. 아하 흠
0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