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단계별로 문제 풀기에서 단계 11은 '재귀'다. 재귀 카테고리에 있는 문제 중 두 문제 코드를 기록해둔다.
재귀는 두고두고 나오니 개념과 실제로 코드로 어떻게 작성하는 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related contents : Statistics/ 재귀란?
컴퓨터 과학에서의 재귀는 자신을 정의할 때 자기 자신을 재참조하는 방법을 뜻하며, 이를 프로그래밍에 적용한 것을 재귀 호출(recursive call)이라고 한다.
백준 10872 - 팩토리얼
팩토리얼은 재귀를 설명할 때 자주 나오는 가장 기본적인 재귀 함수의 모양을 갖고 있다.
문제 :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이때 N!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정수 N(0 ≤ N ≤ 12)가 주어진다.
출력 :
첫째 줄에 N!을 출력한다.
< 내 코드 >
1 2 3 4 5 6 | def factorial(N): if N <= 1: return 1 else: return N * factorial(N-1) print(factorial(int(input()))) |
facotiral 함수를 정의하는 코드 블럭 안에 factorial 함수가 들어가 있다. 즉 자신을 정의할 때 자기 자신을 재참조한다.
참고로 파이썬 math 라이브러리는 factorial 함수를 가지고 있다.
< 백준 - 10870 > - 피보나치 수 5
문제 :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
첫째 줄에 n번째 피보나치 수를 출력한다.
< 내 코드 >
1 2 3 4 5 6 7 8 | def f(n): if n == 0 : return 0 elif n == 1 : return 1 else: return f(n-1) + f(n-2) print(f(int(input()))) |
흠 그런데 다시 보니 n이 0일 때와 1일 때 리턴 값이 같으므로 2~4번 줄을 'if n <= 1:' 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위 코드는 효율적일까?
함수가 중복으로 호출돼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에 비례하는 O(n) 복잡도를 갖기 때문이다.
효율적인 측면에서 재귀 방식은 반복 방식보다 효율성이 떨어진다.
어서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처음이지? 4강
0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