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준 - 8393
< 내 코드 >
✅
리스트를 사용해서 풀었다.
문제에서 n 범위를 지정해준 걸 무시하고 풀었는데, 제출 결과 맞다고 뜨긴 뜬다.
범위를 지정하지 않아도 괜찮은걸까?
# 백준 - 2742
< 내 코드 >
✅
# 백준 - 11021
< 오답인 내 코드 >
❓
주피터 노트북에서 봤을 때 예제 출력을 잘 출력하는데도 제출 결과, 오답이다.
흠... 이유를 모르겠다.
>>> 다음 날 <<<
이유를 찾았다. 6번 항 print 문에서 띄어쓰기 조정을 잘못해서 그런 것이었다 하하핳
정답인 코드는
✅
< 내 코드 >
✅
1 2 3 4 5 | list = [] n = int(input()) for i in range(n+1): list.append(i) print(sum(list)) |
리스트를 사용해서 풀었다.
문제에서 n 범위를 지정해준 걸 무시하고 풀었는데, 제출 결과 맞다고 뜨긴 뜬다.
범위를 지정하지 않아도 괜찮은걸까?
# 백준 - 2742
< 내 코드 >
✅
1 2 3 | N = int(input()) for i in range(N): print(N-i) |
# 백준 - 11021
< 오답인 내 코드 >
❓
1 2 3 4 5 6 |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input().split(' ') A = int(a) B = int(b) print("Case #", i+1, ":{}".format(A+B)) |
주피터 노트북에서 봤을 때 예제 출력을 잘 출력하는데도 제출 결과, 오답이다.
흠... 이유를 모르겠다.
>>> 다음 날 <<<
이유를 찾았다. 6번 항 print 문에서 띄어쓰기 조정을 잘못해서 그런 것이었다 하하핳
정답인 코드는
✅
1 2 3 4 5 6 |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input().split(' ') A = int(a) B = int(b) print("Case #{}: {}".format(i+1, A+B)) |
0 Comments
Post a Comment